검사실 QC 오류 해결하는 Levey-Jennings와 Westgard 룰 활용법

원내 검사실에서 종종 발생하는 정도관리(QC) 오류는 검사를 지연시키고,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치명적인 요인이에요. 부정확한 검사 결과로 환자에게 잘못된 진단을 제공할 위험이 커지고, 이는 병원 평판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죠.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도관리가 필수적이에요.
Levey-Jennings 차트, 정확한 QC 분석의 출발점
정도관리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체계적인 정도관리를 위해서는 표준편차(SD)의 개념과 이를 시각화하는 Levey-Jennings 차트를 확실히 이해해야 해요.
표준편차(SD)는 데이터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CV%(변이계수)와 함께 정도관리 측정 시스템의 정밀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죠. 임상검사 정도관리에서는 SD를 바탕으로 이상 징후를 파악하고 판정을 내려요.
Levey-Jennings 차트는 정도관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예요. 이 차트만 봐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있는지, 아니면 문제가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죠. Levey-Jennings 그래프를 통해 이상 패턴을 눈으로 익혀두면, QC 오류를 빨리 찾아내는 데 큰 도움이 된답니다.
📊 Levey-Jennings 차트 그리는 방법
Levey-Jennings 차트를 그리려면 최소 20일간의 QC 데이터를 꾸준히 모아서 평균(mu)과 표준편차(SD)를 계산해야 해요. 데이터가 많을수록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차트를 만들 수 있어요.
- X축: 날짜 또는 검사를 진행한 회차
- Y축: 측정된 QC 값
- 중심선: QC 데이터의 평균(mu)
- 관리선: 평균을 기준으로 표시한 1SD, 2SD, 3SD 라인
데이터가 2SD 라인 안쪽에 안정적으로 나타난다면 '인-컨트롤(In-Control)' 상태, 즉 정상으로 봐요. 하지만 2SD 라인을 벗어나거나 3SD 라인을 초과하는 패턴이 보인다면 바로 문제 해결이 필요해요.
2SD 라인 안쪽일 때
- ‘인-컨트롤(In-Control)’ 상태로 판단해요.
- 검사 결과가 정상적으로 잘 나왔다는 뜻이에요.
2SD 라인 바깥쪽일 때
- ‘경고(Warning)’ 신호로 간주해요.
- 주의 깊게 살펴보고, 필요하다면 Westgard 룰 같은 추가 기준을 적용해야 해요.
3SD 라인 바깥쪽일 때
- ‘리젝트(Reject)’ 상태로 판정해요.
- 검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우므로, 즉각적인 원인 파악 후 조치가 필요해요.
내부 정도관리는 반드시 최소 2가지 이상의 농도(노멀, 어브노멀)를 가진 컨트롤 물질로 시행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이렇게 얻은 데이터는 각각의 Levey-Jennings 그래프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도 중요해요. 검사 전반의 정확성과 정밀도를 보장하기 위해 유념해 두어야 할 사항들이랍니다.
한눈에 보는 Westgard 멀티룰 요약표
위에서 데이터가 2SD를 벗어났을 경우, Westgard 룰 같은 추가 기준을 적용해 보는것이 좋다고 말씀드렸죠. Westgard 멀티룰은 QC 데이터에 이상이 생겼을 때, 오류의 유형과 조치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규칙이에요. Westgard 멀티룰을 한눈에 살펴보실 수 있도록, 7가지 주요 룰과 그래프 모양, 오류 유형, 최우선 조치까지 요약표로 정리했어요.


👀 리젝트 판정 시,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만약 QC 데이터가 Westgard 룰에 따라 리젝트(Rejected) 판정을 받았다면, 다음의 체크리스트를 따라 침착하게 문제를 해결해 보세요.
- 컨트롤 상태 확인: 컨트롤 개봉 이후 시간이 오래 지나지는 않았는지(CBC 컨트롤 기준 개봉 후 2주~1달 이상), 냉장 보관 온도는 적절했는지, 냉장고에서 꺼낸 후 15분가량 실온화가 이뤄졌는지를 꼼꼼히 살펴보세요. 또한, 측정 전 컨트롤 물질을 잘 믹싱했는지도 확인해야 해요.
- 시약 상태 확인: 장비의 에러 로그를 확인하고, 최근 시약을 교체한 이력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시약 개봉 후 적정 유효기간을 과도하게 넘어섰거나, 시약의 로트가 변경되면 데이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요.
- 재검사 및 비교: 문제가 의심되는 컨트롤을 여러 농도의 레벨로 다시 검사해 보세요. 만약 동일한 이상 패턴이 반복된다면,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요. 이때는 장비 제조사 또는 서비스 센터에 연락하여 전문적인 기술 지원을 요청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현명한 방법이에요.
⬇️ QC 시뮬레이터를 다운로드하고,
Levey-Jennings 그래프를 그려보세요!
Levey-Jennings 그래프와 Westgard 룰은 검사실의 정도관리 오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나아가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끌어올려 주는 유용한 도구예요. 아래 첨부된 QC 그래프 생성 파일을 내려받으면, Levey-Jennings 그래프를 직접 그려보면서 Westgard 룰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정도관리 프로토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진단 장비와 관련한 궁금증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메디원에 부담 없이 문의해 주세요! 무료 상담을 통해 검사실 운영에 필요한 도움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