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정확도 UP! 임상병리사를 위한 용혈 검체 판정 기준 총정리
용혈 검체로 인한 문제는 검사실에서 생각보다 자주 일어나는 일이에요. 용혈이 발생하면 검체 속 칼륨 수치는 2배, LDH는 20배 높아지고, 트로포닌은 40%까지 낮아질 수 있어요. 이러한 수치는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진료 판단에 잘못된 영향을 주죠.
임상병리사 선생님을 위해 용혈 검체가 검사 데이터에 실제로 얼마나,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안내해 드릴게요. 용혈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용혈을 줄이는 실무용 체크리스트도 정리해 두었으니, 끝까지 읽고 검사실 현장에 바로 적용해 보세요!
용혈은 어떻게 판단하나요?
용혈 여부는 대부분 맨눈으로 판단해요. 육안 판단은 사람마다 기준이 조금씩 다르므로, 표준 사진을 만들어 검사실 전체가 함께 공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검사자 간 편차를 줄이고 판단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어요. 용혈 정도를 구분하는 기준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세요!

주요 검사별 용혈 영향 요약표
용혈 검체가 검사 데이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현장에서 곧바로 참고하실 수 있도록 주요 검사별 용혈 영향을 요약표로 정리했어요. 이 표를 다운로드하셔서 검사실 벽에 붙여두고, 검사할 때마다 참고해 보세요. 실무에서 빠른 판단이 필요할 때 유용하실 거예요!
🟡 SST 튜브(혈청) 검사

🟣 EDTA 튜브(혈장/전혈) 검사

✅ 튜브별 용혈 민감도

용혈 검체의 영향을 받는 검사 항목
1️⃣ 생화학 검사

- 칼륨(K)
혈청 칼륨의 정상 참고치는 3.5~5.0mEq/L이지만, 경미한 용혈만 있어도 6.0~7.0mEq/L까지 올라가 고칼륨혈증으로 오진될 수 있어요. 이런 위양성 결과는 불필요한 추가 검사, 심전도, 응급 처치로 이어지죠. 따라서 칼륨이 높게 나왔다면 가장 먼저 검체 상태를 확인해 보세요. 혈청이 살짝 분홍빛을 띠는 것만으로도 용혈 가능성이 있으니, 다시 채혈하는 것이 안전해요.
- LDH
LDH 수치 역시 경미한 용혈만 있어도 500~1,000U/L, 중등도 용혈이면 2,000~5,000U/L까지 상승하는 항목이에요. 적혈구 내 LDH 농도는 혈장의 약 100~150배이기 때문에 용혈의 영향이 매우 극단적으로 나타나죠. LDH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왔다면 함께 측정된 AST/ALT, 트로포닌 수치를 꼭 함께 봐야 해요. AST/ALT가 같이 상승하면 간 손상 가능성이, 트로포닌이 같이 상승하면 심근경색 가능성이 있어요. LDH만 단독으로 상승한다면 용혈을 의심해야 해요.
- AST(SGOT)
적혈구에 존재하는 AST도 용혈 시 위양성이 쉽게 발생해요. 이럴 땐 간 특이적인 ALT와 비교해 보세요. 실제 간 손상이 있다면 AST와 ALT가 함께 상승하거나 ALT가 더 높게 나타나요. 하지만 용혈 간섭이라면 AST만 현저히 상승하고 ALT는 정상이거나 약간 상승한답니다.
- 빌리루빈(Bilirubin)
비색법으로 황색을 측정하는 빌리루빈 검사는 용혈이 발생하면 붉은색이 섞여 측정에 차질이 생겨요. 총 빌리루빈(T.BIL)은 약간의 영향을 받지만, 직접 빌리루빈(D.BIL)은 측정법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기도 하죠. 심한 용혈에서는 위양성과 위음성이 모두 나타날 수 있으므로, 빌리루빈 수치가 예상과 다르다면 검체 색 변화를 꼭 확인해 보세요.
2️⃣ EDTA 튜브

EDTA 튜브(보라색 뚜껑)를 사용하는 검사 중에도 용혈에 취약한 항목들이 있어요. 용혈이 발생하면 적혈구가 터지면서 적혈구 수(RBC count)가 급격히 감소하고, 헤모글로빈(Hb) 측정이 불가능하거나 부정확해지거든요. 헤마토크릿(Hct)도 함께 낮아지고요. 결과적으로 MCV, MCH, MCHC 같은 계산값에도 영향을 주어, 빈혈 진단이나 적혈구 형태 평가가 사실상 불가능해져요.
그렇지만 EDTA 전혈로 측정하는 당화혈색소(HbA1c)는 비교적 안정적이에요. 특히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은 용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죠. 면역학적 측정법은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심한 용혈이 아니라면 대부분 결과 해석에 큰 문제가 없어요.
3️⃣ 면역 검사

- 트로포닌(Troponin)
용혈은 적혈구가 파괴되는 현상이에요. 적혈구가 파괴되면 그 안에 있던 단백분해효소가 방출되죠. 이 효소들은 단백질 구조를 손상시켜, 단백질로 이루어진 트로포닌의 펩타이드 결합을 절단해 버려요. 그 결과, 트로포닌 수치는 실제보다 크게 낮아지죠. 경미한 용혈(살짝 분홍빛)에서는 약 10~15% 감소, 중등도 용혈(명확한 붉은빛)에서는 약 30~40% 감소, 심한 용혈(진한 붉은빛)에서는 약 50% 이상 감소해요.
또 트로포닌은 채혈 직후 바로 분석하면 영향이 거의 없지만, 2시간 이상 방치하면 중등도 감소가 나타나요. 4시간 이상 지나면 심각한 저하가 발생하고요. 그러므로 트로포닌 검사는 채혈 직후 신속하게 분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해요.
4️⃣ 갑상선 검사

- TSH
갑상선기능저하증 진단의 핵심 지표인 TSH는 검사 장비와 시약 종류에 따라 용혈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요. 일부 구형 장비는 중등도 용혈에서 +25% 이상 위양성을 보이지만, 최신 CMIA 장비는 +5~10% 정도의 위양성만 보이죠. 우리 검사실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용혈 반응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장비별 반응 패턴을 정리해 두면 검사가 훨씬 더 용이해져요.
- Free T4
TSH와 Free T4 결과가 서로 불일치할 때도 용혈 여부를 확인해야 해요. 대부분의 Free T4 검사는 경쟁적 면역검사법을 사용하는데, 용혈물이 항체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면 위양성 결과가 나올 수 있어요. 만약 TSH는 정상인데 Free T4만 상승한 경우라면, 가장 먼저 용혈 가능성부터 점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용혈을 줄이는 실무 체크리스트
용혈은 사소한 습관 하나만 바꿔도 크게 줄일 수 있어요. 검사실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살펴보고, 불필요한 재채혈을 예방해 보세요!
✅ 바늘 크기
- 23G 이상은 용혈 위험이 증가하니, 21G 사용을 권장해요
- 나비바늘은 정맥 확보가 어려운 경우 등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사용해요
✅ 채혈 기술
- 지혈대는 1분 이내로 유지해요
- 주먹은 너무 오래 쥐지 않도록 안내해요
- 주사기로 채혈 시 피스톤을 급하게 당기지 않아요
- 진공채혈관 튜브에 옮길 때, 세게 누르지 말고 천천히 주입해요
✅ 검체 취급
- 채혈 후 튜브는 부드럽게 5~10회 믹싱해요
- SST 튜브는 30분간 튜브랙에서 충분히 굳힌 뒤 원심분리해요
- EDTA, Sodium Citrate 튜브는 롤러믹서에서 5분 이상 부드럽게 굴려요
임상병리사 선생님, 이 콘텐츠도 확인해 보세요!









